CEO
CEO&Leadership
C-LEVEL
VIEW
FOCUS
TIME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PECIAL REPORT
VIVID
LIFE
LS머트리얼즈, 공장 착공하고 핵심 시스템 개발하다
LS머트리얼즈 직원이 ‘대전력 부하 제어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LS머트리얼즈의 투자와 핵심기술개발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자회사 하이엠케이가 17일 구미국가산업단지에서 전기차(EV)용 알루미늄 부품 공장 착공식을 가진 LS머트리얼즈는 이틀 전에는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대전력 부하 제어시스템’을 개발했다고 공개했다. 자회사 구미 EV부품공장 착공, 내년 초 양산 LS머트리얼즈 자회사 하이엠케이(HAIMK)는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에서 전기차(EV)용 알루미늄부품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공장은 내년 1분기부터 EV 약 30만대에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케이스 부품 등을 양산한다. 홍영호 LS머트리얼즈 대표는 “양산 제품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성차업체의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는 제품”이라며 “2027년 2,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하이엠케이는 LS머트리얼즈와 EV용 알루미늄부품 글로벌 1위 오스트리아 하이(HAI)사가 지난해 설립한 합작사다. HAI는 다임러와 BMW 등 유럽 EV차량에 제품을 공급한다. 홍 대표는 “EV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부품 비중이 늘고 있다”며 “배터리케이스 부품을 시작으로 적용분야를 확대하고 관련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공장은 약 750억원을 투입, 부지 60,956제곱미터에 연면적 16,305제곱미터 규모로 지어진다. 착공식에는 구본규 LS전선 대표, 홍 대표, 롭반길스 HAI 대표를 비롯해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안주찬 구미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 ‘大전력 부하 제어시스템’ 개발 LS머트리얼즈는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대전력 부하 제어시스템(Enhanced STATCOM)’을 개발했다. 이는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인 울트라커패시터(UC)를 활용해 전력망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UC가 전력망에 전력을 주입하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UC는 일반 배터리와 달리 충·방전속도가 빨라 전압 및 주파수 변동에 대한 보상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주로 풍력, 태양광 발전 등 기상상황에 따라 전압이 급변하는 대규모 전력망에 사용된다. 국내에선 LS머트리얼즈가 최초로 개발했다. 독일과 중국에 이어 세번째다. 중대형 UC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술진입장벽이 높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규모가 커짐에 따라 0.1초 안에 메가와트급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독일 등 유럽을 중심으로 대규모 전력망에 도입을 시작, 시장규모가 2026년 1천억원, 2030년 5천억원 이상으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 대표는 “독일과 일본, 미국의 글로벌 전력기기 제조사와 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한다”며 “기술보유업체가 전세계적으로 서너 곳에 불과해 시장성장과 함께 매출이 급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입력 2024. 04. 23. 01:39 AM
인기 있는 콘텐츠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