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CEO&Leadership
C-LEVEL
VIEW
FOCUS
TIME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PECIAL REPORT
VIVID
LIFE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대한민국의 국격에 어울리는 새로운 삼성 만들겠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6일 경영권 승계와 노조문제 등과 관련해 직접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진행된 대국민 사과에서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며 “대한민국의 국격에 어울리는 새로운 삼성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 부회장의 대국민사과를 육성을 통해 분야별로 정리한다.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 하루 뒤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위원 모두가 참석한 가운데 정기회의를 열고 입장을 밝혔다. 위원회는 권고에 따라 이 부회장의 답변발표가 직접적으로 이뤄지고 준법가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점에 의미 있는 평가를 내렸다. 다만 위원회는 구체적인 실행방안, 즉 준법의무위반이 발생하지 않을 지속가능한 경영체계 수립, 노동3권의 실효성 있는 보장, 시민사회의 실질적 신뢰회복을 위한 실천방안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고 조만간 보다 자세한 개선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관계사에게 요청했다. “기술과 제품은 일류지만 삼성을 바라보는 시선 따갑다” 오늘의 삼성은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성장했다.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때로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오히려 실망을 안겨드리고 심려를 끼쳐 드리기도 했다. 법과 윤리를 엄격하게 준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회와 소통하고 공감하는 데도 부족함이 있었다. 기술과 제품은 일류라는 찬사를 듣고 있지만 삼성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따갑다. 이 모든 것은 저희들의 부족함 때문이다. 저의 잘못이다. 사과드린다.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 반성하는 마음으로 삼성의 현안에 대해 솔직한 입장을 말씀 드린다. 먼저 ‘경영권 승계’ 문제다. 그동안 저와 삼성은 승계 문제와 관련해 많은 질책을 받아왔다. 특히 삼성에버랜드와 삼성SDS 건에 대해 비난받았다. 최근에는 승계와 관련한 뇌물 혐의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저와 삼성을 둘러싸고 제기된 많은 논란은 근본적으로 이 문제에서 비롯된 게 사실이다. 이 자리에서 분명히 약속드린다. 이제는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 법을 어기는 일은 결코 하지 않겠다. 편법에 기대거나 윤리적으로 지탄받는 일도 하지 않겠다. 오로지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일에만 집중하겠다.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 물려주지 않겠다” 이 기회를 빌려 그동안 가져온 소회를 말씀 드리고 싶다. 2014년에 회장님이 쓰러지시고 난 후 부족하지만 회사를 위해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 하지만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자부하기는 어렵다. 다만 그 과정에서 깨닫고 배운 것도 적지 않았다. 미래 비전과 도전 의지도 갖게 되었다. 저는 지금 한 차원 더 높게 비약하는 새로운 삼성을 꿈꾸고 있다.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력으로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면서도 신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하겠다. 우리 사회가 보다 더 윤택해지도록 하고 싶다. 그래서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 그런데 삼성을 둘러싼 환경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시장의 룰은 급변하고 있다. 위기는 항상 우리 옆에 있고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 특히 삼성전자는 기업의 규모로 보나 IT업의 특성으로 보나 전문성과 통찰력을 갖춘 최고 수준의 경영만이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 이것이 제가 갖고 있는 절박한 위기의식이다. 삼성은 앞으로도 성별과 학벌 나아가 국적을 불문하고 훌륭한 인재를 모셔 와야 한다. 그 인재들이 주인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고 치열하게 일하면서 저보다 중요한 위치에서 사업을 이끌어가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저에게 부여된 책임이자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제가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때 삼성은 계속 삼성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기회에 한 말씀 더 드리겠다.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다. 오래전부터 마음속에는 두고 있었지만 외부에 밝히는 것은 주저해왔다. 경영환경도 결코 녹록치 않은데다가 제 자신이 제대로 된 평가도 받기 전에 제 이후의 제 승계 문제를 언급하는 것이 무책임한 일이라고 생각해서이다. “더 이상 ‘무노조경영’이라는 말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 다음은 ‘노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말씀 드리겠다. 삼성의 노사 문화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지 못했다. 최근에는 삼성에버랜드와 삼성전자서비스 건으로 많은 임직원들이 재판을 받고 있다. 책임을 통감한다. 그동안 삼성의 노조 문제로 인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이제 더 이상 삼성에서는 ‘무노조 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 노사관계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고 노동 3권을 확실히 보장하겠다. 노사의 화합과 상생을 도모하겠다. 그래서 건전한 노사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겠다. “준법이 삼성의 문화로 확고하게 뿌리내리도록 하겠다” ‘시민사회 소통과 준법 감시’에 대해 말씀 드리겠다. 시민사회와 언론은 감시와 견제가 그 본연의 역할이다. 기업 스스로가 볼 수 없는 허물을 비춰주는 거울이다. 외부의 질책과 조언을 열린 자세로 경청할 것이다. 낮은 자세로 먼저 한 걸음 다가서겠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가치에 귀를 기울이겠다. 준법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가치다. 저부터 준법을 거듭 다짐하겠다. 준법이 삼성의 문화로 확고하게 뿌리내리도록 하겠다.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독립적인 위치에서 계속 활동할 것이다. 그 활동이 중단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 “전례 없는 위기상황에서 진정한 국격의 의미 느꼈다” 삼성의 오늘은 과거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미래’다. 임직원 모두의 헌신과 노력이 있었고 많은 국민들의 성원도 있었기에 가능했다. 최근 2-3개월간에 걸친 전례 없는 위기상황에서 저는 진정한 국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절실히 느꼈다. 목숨을 걸고 생명을 지키는 일에 나선 의료진, 공동체를 위해 발 벗고 나선 자원봉사자들, 어려운 이웃을 위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많은 시민들, 이런 분들을 보면서 무한한 자긍심을 느꼈다. 또 기업인의 한 사람으로서 많은 것을 되돌아보게 되었고 제 어깨는 더욱 무거워졌다. 대한민국의 국격에 어울리는 새로운 삼성을 만들겠다. CEO TIME 2020. 5. 29.
입력 2024. 12. 18. 07:29 AM
인기 있는 콘텐츠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