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CEO&Leadership
C-LEVEL
VIEW
FOCUS
TIME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PECIAL REPORT
VIVID
LIFE
최태원 SK그룹 회장 ‘글로벌 스토리’경영 펼치다
미국과 유럽을 방문해 현지 정·재계 인사들과 연쇄 회동하는 등 ‘글로벌 스토리’경영을 본격화하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광폭행보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스토리’는 최 회장이 강조하는 경영화두로 SK가 글로벌 현지 이해관계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윈-윈 형 사업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개념이다. 워싱턴서 매코널 원내대표, 짐 팔리 포드 CEO 등과 회동 최 회장은 지난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등 정·재계 인사들을 연이어 만나 상호관심사를 논의했다. 최 회장은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매코널 원내대표와 제임스 클라이번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 등 공화·민주 양당 지도자들을 만나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SK의 전략과 미국 내 친환경사업 비전 등을 소개하고 의견을 나눴다. 최 회장은 “SK는 2030년 기준 전세계 탄소감축 목표량(210억톤)의 1%에 해당하는 2억톤의 탄소를 감축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는 등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미국에 투자할 520억 달러 중 절반 가량을 전기차 배터리와 수소, 에너지 솔루션 등 친환경 분야에 집중해 미국 내 탄소감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 테네시 주 지역구의 공화당 마샤 블랙번, 빌 해거티 상원의원과도 만나 “SK온이 건설 중인 조지아공장에 이어 포드와 합작해 켄터키, 테네시 주에 2027년까지 설립하기로 한 대규모 배터리 공장이 완공되면 3개 주에서 모두 1만1,000여명에 이르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미 의회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사업 자회사인 SK온과 포드는 최근 합작법인 ‘블루오벌SK’를 통해 켄터키 주와 테네시 주에 총 114억 달러(약 13조3,000억원)를 투자해 매년 215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129GWh규모의 배터리공장 2개를 건설하기로 했다. SK온은 이 중 44억5,000만달러(약 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최 회장은 또 하원 외교위 아태지역 소위원장인 아미 베라 민주당 의원과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등 행정부 고위인사들을 두루 만나 한·미 우호 증진과 바이오 등 미래사업 투자활성화, 기후변화 대처, 지정학 현안 등 폭넓은 주제로 환담했다. 최 회장은 1일 짐 팔리 포드 CEO와의 화상회의에서 켄터키 주 등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양사 간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하는 한편 향후 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이 미국 내 핵심 이해관계자들에게 SK뿐 아니라 한국 재계 전반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글로벌 스토리’를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며 “이는 ESG경영을 통해 글로벌 각지의 폭 넓은 지지를 확보하고자 하는 취지”라고 말했다. 美 상원의원과 한·미 경제협력 강화 논의 최 회장은 한국을 찾은 존 오소프 미국 조지아주 상원의원(민주)을 만나 ESG를 중심으로 한 양국 간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이 최근 미국, 유럽 등을 돌면서 경제외교에 적극 나서자 이에 공감한 글로벌 리더들도 한국을 찾아 SK는 물론 한국과의 세부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달 9일 최 회장은 SK서린사옥에서 오소프 의원, 크리스토퍼 델 코소 주한 미국대사대리 등과 만찬을 겸한 회동을 가졌다. 올해 34세인 오소프 의원은 아프리카와 중동지역 탐사보도 전문언론인 출신으로 기후변화 대응에서의 미국의 역할과 신재생에너지 등 에코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미국 정가의 차세대 주자다. 두 사람은 ESG에 기반한 성장이라는 공통관심사로 인해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수소 등 그린 비즈니스에서의 양국간 협력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노력 등 폭넓은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최 회장은 “SK그룹은 배터리와 수소 등 친환경 비즈니스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미국 내 온실가스 감축과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망 구축, 일자리창출에 기여해나갈 것”이라며 “SK그룹의 미국 내 투자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환경문제, 일자리문제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함께 성장하는데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어 “SKC가 조지아주에서 생산할 반도체 패키지용 글라스 기판은 전력소모량은 절반으로 줄이면서 데이터처리량은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미래형 첨단소재”라며 “SKC의 글라스 기판과 SK-포드 합작사인 블루오벌SK에서 생산될 배터리 등 SK의 그린 비즈니스는 미국이 2030년까지 줄여야 할 온실가스배출량의 3.3%를 감당하게 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 “탄소저감은 전 지구적인 문제고 기후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이 별로 남지 않았다”며 “온실가스를 감축할 경우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이 훨씬 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민간 섹터의 적극적이고 자발적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정책적 제안도 제시했다. 이에 오소프 의원은 SK가 조지아주 배터리공장 건설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창출을 포함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에 감사를 표한 뒤 “SK와 조지아주, 더 나아가 한미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소프 의원은 SK가 투자한 국가나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로 SK 경영철학의 핵심이라는 최 회장의 설명에 공감하며 제안 받은 온실가스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시스템에 대해서도 구체적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자고 화답했다. 최 회장은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 경제사절단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오소프 의원과 회동한 바 있어 이날 만찬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고 SK측은 설명했다. CEO TIME 2021. 11. 30.
입력 2024. 12. 19. 02:31 AM
인기 있는 콘텐츠
준비 중입니다.